(무안=연합뉴스) 전승현 기자 = F1 대회 주관사인 포뮬러원 매니지먼트(FOM)가 F1 대회조직위원회(위원장 전남도지사·이하 F1 조직위)에 올해 F1 대회가 열리지 않는데 따른 위약금을 물라고 F1 조직위에 통보한 것으로 확인됐다.
복수의 F1 조직위 관계자는 9일 "FOM이 올해 F1 대회가 열리지 않는 데 대한 책임이 F1 조직위에 있다고 주장하며 위약금을 내라고 요구해왔다"고 밝혔다. F1 조직위의 한 관계자는 "F1 조직위가 지난해 11월까지 2015 대회 개최권료를 지급하기 위한 계좌(신용장)를 외국(통상 영국) 은행에 개설하지 않은 것은 계약위반이라고 FOM은 주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위약금 액수와 관련해 F1 조직위의 또 다른 관계자는 "계약위반을 했으면 "2년치 개최권료"를 위약금으로 물도록 돼 있다"며 "FOM이 요구한 위약금 액수는 구체적으로 밝힐 수 없지만, 계약상 정해진 "2년치 개최권료"보다는 훨씬 적은 액수"라고 말했다. 1년치 개최권료는 4천300만달러(472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FOM이 요구한 정확한 위약금은 확인되지 않지만 상당한 액수로 보인다.
이와 관련, F1 조직위 관계자들은 이달 말 FOM 본사가 있는 영국을 방문해 FOM 관계자들과 첫 "위약금 협상"을 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F1 조직위의 한 관계자는 "이달 말 F1 조직위 관계자 등이 팀을 구성, 영국을 방문해 버니 에클스턴 FOM 회장과 FOM 관계자들, 변호사들을 만날 예정"이라고 말했고, F1 조직위의 또 다른 관계자는 "영국방문 시점이 다음달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F1 조직위는 전남도 재정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FOM과 협상을 벌일 것으로 전해졌다. F1 조직위의 한 관계자는 "2012년, 2103년 F1 대회 때도 신용장을 개설하지 않고 현금으로 대회 개최권료를 지급했기 때문에 신용장 미개설을 이유로 위약금을 물라는 FOM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고성석 F1대회 조직위 본부장은 기자간담회를 하고 "재정을 최소화하는 기조를 유지하고자 한다"며 "위약금 (액수)에 대한 (F1 조직위와 FOM 간에) 차이가 클 때에는 무대응도 하나의 전략"이라고 말했다.
전남도가 F1대회 개최로 인해 1천900억원의 누적적자가 발생한 상황에서 "막대한 위약금"까지 물어낸다며 재정에 악영향을 미치고 도민 여론이 전남도에 비우호적으로 형성될 수 있어 협상과정과 결과가 주목된다.
한편 F1 조직위는 관계자가 조직위 해산을 언급한 내용이 지난 8일 보도되자, 자료를 통해 보도내용이 사실과 다르다고 부인해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shch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