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웅 기자 = 미래 유망산업으로 꼽히는 자율주행 자동차 산업이 뿌리내릴 수 있게 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작업에 정부가 본격적으로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1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린 "2015 자율주행자동차산업 심포지엄"에서 올해 시행할 "자율주행자동차 산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실행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부품, 서비스 등 기술개발을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하기에 앞서 정부 예산과 민간 수요를 반영한 상세기획안을 마련하고, 인력·기술표준 등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며, 국내외 시장 창출을 위한 제도개선과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 도입된 차량안전 규제용 핵심 부품과 차선이탈경고 기능을 갖춘 블랙박스와 같은 애프터마켓용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계획도 포함됐다. 시험 도로주행이 가능하도록 실증 지구를 선정해 자율주행차의 연구개발 환경을 마련하는 내용도 담겼다. 올 11월 대학(원)생 대상의 자율주행차 경연대회도 개최한다. 이를 위해 지난해 11월 모집했던 참가팀 가운데 예선을 통과한 건국대, 계명대, 국민대, 성균관대, 인하대, 전남대, 충북대, KAIST 등 8개 팀을 이날 발표했다.
자율주행차는 레이더, 카메라 등 주행환경 인식장치와 GPS 같은 자동항법장치를 기반으로 조향, 변속, 가속, 제동을 스스로 제어해 목적지까지 주행할 수 있는 차량을 말한다. 산업부는 2013년 12월 집중 육성할 13대 산업엔진 프로젝트를 선정하면서 자율주행차를 포함시켰다.
abullapi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