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드, 2014-2015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

입력 2015년06월18일 00시00분 오아름 기자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포드자동차가 연례 지속가능성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해당 보고서는 올해로 16회를 맞았다.

 18일 포드에 따르면 보고서에는 글로벌 주요 모빌리티의 큰 흐름과 회사의 환경 분야 성과가 담겼다. 특히 올해 초 멕시코 헤르모시요 스탬핑·조립공장에서 매립 폐기물을 전혀 배출하지 않으면서 세계적으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이를 통해 회사는 매년 150만 파운드 규모의 매립 폐기물을 줄일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회사는 멕시코 쿠아티틀란, 치와와 공장에 이은 이번 성과를 통해 2011년부터 2016년까지 목표한 제품 당 매립 폐기물 40% 추가 저감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앞서 포드는 2007년부터 2011년 사이에 이미 제품 당 매립 폐기물 40% 저감을 이뤄낸 바가 있다.
 
 폐기물 배출 제로를 위해 포드는 공장 구내식당 폐기물 45t 가량을 퇴비로 만들어 제조시설 주변 녹지 공간에 사용하고 있다. 또한 솔벤트를 재활용하고, 폐알루미늄은 수거 후 재사용하는 자원순환 시스템을 마련했다.

 현재 멕시코 헤르모시요 외에도 글로벌 27군데의 포드 제조시설은 매립 폐기물 제로를 달성했다. 세부적으로는 북미 13개, 유럽 7개, 아태지역 5개 및 남미 지역 3개 시설이 이에 해당한다.
 
 이와 함께 보고서를 통해 포드는 생산시설에서 자동차 한 대를 생산하는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25년까지 30% 줄이기 위한 노력을 소개했다. 이미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4% 이상 줄였고, 추세를 유지하기 위한 장기적인 목표도 세웠다. 동시에 시설 내 물 사용량도 철저히 제한, 지난 2014년 회사 목표를 2년이나 앞당겨 2009년 대비 30% 이상 저감했다.
 
 또한 포드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자동차 한 대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소비량을 25% 감축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포드는 글로벌 시설의 에너지 효율 증가에 을 높이기 위해 3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다고 강조했다.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해 만드는 리프리브(REPREVE) 섬유도 소개했다. 이 소재는 2015년형 F150 픽업트럭에 채용됐으며, 리프리브 섬유를 사용한 다섯 번째 제품이다.
 
 한편, 포드는 다가올 다섯 가지의 큰 흐름에 대해 주목했다. 그 다섯 가지는 도시화, 중산층의 성장, 대기 오염으로 인한 건간 문제, 소비자 행태 변화와 밀레니얼 세대 부상, 천연 자원의 제한 등을 꼽았다. 이 큰 흐름들은 자동차 업계의 도전 과제가 아닐 수 없다는 게 포드의 인식이다. 해법으로 회사는 "스마트 모빌리티"를 제시했다. 이는 연결성, 이동성, 자율 주행, 사용자 경험, 빅 데이터의 영역에서 한 단계 더 높은 성장을 하기 위해 마련된 프로젝트다.


오아름 기자 or@autotimes.co.kr

▶ [기자파일]생소한 격락손해, 보상 기준 달라져야
▶ 끝나지 않은 타카타 쇼크, 토요타·혼다 미국서 에어백 추가 리콜
▶ 6월 중고차 시장, SUV의 단독 질주
▶ 시트로엥, 플라스틱 차체 "메하리" 부활시킬까?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