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안전한 자동차 관리 요령은?

입력 2015년06월18일 00시00분 오아름 기자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최근 한낮 기온이 30도를 오르내리며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간간히 소나기가 내리고 있지만 고온 현상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게 기상청의 예측이다. 이처럼 기온이 급상승하면서 지난 달 정차 중인 트럭 안에서 가스라이터가 폭발하는 사고도 발생했다. 더위에 대비한 자동차 관리 수칙을 알아봤다. 

 ▲브레이크액 관리 하셨나요?
 여름 아스팔트 도로 표면의 온도는 50-60℃ 이상 높아진다. 브레이크 마찰열이 더해지면 온도는 더욱 상승할 수밖에 없다. 이 때 수분을 다량으로 함유한 브레이크액이 끓어오르기 마련인데, 이 경우 브레이크 라인 내에 기포가 생겨 페달을 밟아도 유압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베이퍼록(vapor lock)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때문에 고온다습한 여름이 오기 전에 브레이크액 점검이 필수다. 특히 브레이크액은 시간이 흐를수록 수분 함유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주행을 하지 않더라도 교환주기를 지켜야 한다. 교환주기는 보통 2년 혹은 주행거리 기준 4만㎞로, 비등점이 높은 브레이크액을 사용해야 베이퍼록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엔진이 너무 뜨겁진 않은가요?
 국민안전처가 발표한 화재발생 통계에 따르면 전체 화재 중 자동차 화재는 18.5%로 가장 높다. 자동차 화재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엔진 과열이 꼽혔다. 자동차 내에서 엔진을 식혀주는 냉각수는 엔진 실린더 주변을 돌며 역할을 수행하는데 제때 교환하지 않으면 엔진이 부식되거나 오염될 수 있다. 때문에 요즘처럼 더운 날씨에는 냉각수의 양을 적절하게 유지하고, 운전 중에도 계기판에 표시된 냉각수의 온도를 체크해 이상이 없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냉각수 교환주기는 2년에 한 번 정도다.

 ▲자동차 폭발, 사소한 물건 방치가 부른다
 교통안전공단의 실험 결과 한낮 기온이 30℃를 웃돌면 자동차 실내온도는 50℃에서 최대 90℃까지 오를 수 있다. 때문에 폭염에 장시간 차를 방치할 경우 무심코 놓고 간 물건으로 사고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가스라이터, 실내 탈취제, 음료 캔, 먹다 남은 물병은 폭발 위험요인으로 여겨진다. 또한 휴대전화, 내비게이션, 블랙박스 등의 전자기기도 과열로 기기가 오작동하거나 폭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는 전원을 뽑아두거나 신문지로 유리를 가려 과열 위험을 줄여야 한다. 실내 용품을 선택할 때도 LPG 가스가 없는 탈취제를 사용해야 한다. 화재가 날 경우를 대비해 자동차용 소화기나 해머를 준비하는 것도 좋다. 또한 안전삼각대를 구비해두면 사고 발생 시 2차 사고를 막는데 도움이 된다.


오아름 기자 or@autotimes.co.kr

▶ 벤츠, GLK 후속 GLC 공개
▶ 포드, 2014-2015 지속가능성 보고서 발간
▶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 신차 교환 보상 서비스 개시
▶ 현대차, 벤틀리 前 수석 디자이너 영입하나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