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세계 첫 '전기차 섬' 프로젝트 로드맵 확정

입력 2015년09월16일 00시00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제주도를 세계 첫 "전기차 섬"으로 만드는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로드맵이 확정됐다.

 제주도는 16일 "탄소 없는 섬 제주"라는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2030년 전기차 100% 전환 중장기 종합계획(2015∼2030)을 발표했다. "바람으로 달리는 전기차의 글로벌 메카"를 목표로 보급→이용→재사용→가치확산 등 전기차의 전 주기 라이프 사이클을 반영한 9대 전략, 36개 세부실천과제를 추진한다.

 1단계로 2017년까지 도내 운행 차량의 10%인 2만9천대를 전기차로 전환하고, 2단계로 2020년까지 40%인 13만5천대를 전기차로 바꾼다. 3단계로 2030년까지 37만7천대를 모두 전기차로 전환한다. 차종별로는 자가용 전기차 23만3천대, 전기버스·전기택시·전기렌터카 6만1천대, 전기화물차 8만3천대다. 관용 전기차 360대도 별도로 보급한다.

 전기차 보급은 2020년까지 매년 정부가 추진하는 전기차 보급 대수의 50%를 할당받는 방식으로 추진한다. 이 기간에 전기차 공급자와 가격 협상을 통해 가격 인하를 유도하고, 수요자 간 자율경쟁 입찰 방식을 적용해 보급을 확대한다. 이후에는 저리 대출상품과 금융리스, 할부프로그램을 출시해 전기차를 사는 도민 부담을 덜어줄 계획이다.
 
 정부가 2021년부터 시행하기로 한 저탄소차 협력금제와 전기차 가격 인하, 배터리 성능 향상 등은 소비자들의 자발적인 전기차 전환에 상당히 큰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저탄소차 협력금제는 전기차, 하이브리드차, 소형차 등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하는 차를 살 때는 보조금을 주고, 많이 배출하는 중·대형차를 살 때는 부담금을 부과하는 제도다.

 전기차 보급으로 인한 차량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폐차 등 말소등록을 하거나 다른 지역으로 팔았을 때 우선 보급한다. 충전기는 개인(홈)충전기, 공공 및 민간 유료 충전기 등 총 7만5천기(완속 7만1천기, 급속 4천기)를 설치한다.

 제주를 전기차 특구로 조성해 "전기차 글로벌 플랫폼"을 구축하고, 전기차 선도 시범마을 10곳을 육성하는 등 다양한 민관협력시스템도 구축한다. 민간 중심의 전기차 산업 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고 고객 지향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민간 유료 충전서비스 사업과 전기차 배터리 리스 사업을 추진한다. 전기차 관련 지역 기업을 육성하고, 기존 주유소와 LPG충전소 등의 업종 전환을 지원할 계획이다.

 전기차 및 충전기 통합 콜센터를 운영하며 충전 인프라 정보와 전기차 이용 전반에 대한 안내서비스, 충전시설 고장수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전기차 통합 운영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 국제전기차엑스포와 전기차에코랠리를 세계적인 행사로 육성한다. 매년 5월 6일을 전기차의 날로 지정하고 그날이 속한 주를 전기차 주간으로 정해 전기차 관련 기업 등이 참가하는 다양한 행사를 벌인다.

 전기차 검사기준 표준화 연구와 전문 안전검사센터를 구축하고, 국내외 인증기관을 유치한다. 주거, 상업시설 밀집지역에 풍력과 태양광,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적용한 전기차 전용 충전주차타워도 시범 운영한다.

 전기차를 통해 에너지 수요를 관리하며 대정전(블랙아웃) 사태가 발생했을 때 전기차를 활용한 에너지공급시스템을 구축한다. 전기차 배터리에 남은 전력을 되파는 V2G(Vehicle to Grid), 차량 간 무선통신으로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V2V(Vehicle-to-Vehicle), 전기차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가정용 전기로 활용하는 V2H(Vehicle to Home)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에서 전기차 배터리 전력을 이용해 노트북을 사용하고 휴대전화 등을 충전하는 V2D(Vehicle to Device) 시범사업도 한다.

 전기차 에코 드라이빙 체험센터를 조성하고, 516도로와 1131번 지방도에 전기차 체험(회생제동) 구간을 운영한다. 도내 대학과 연계해 전기차 전용 부품 공급 시스템을 마련하고, 전기차 전용 보험제도 도입도 추진한다. 전기 보급 활성화와 편의 제공 등을 위해 주택법, 주차장법,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지방세특례제한법 등 연관 법령을 개정한다. 전기차 산업 육성을 위한 전담조직인 전기차산업과를 신설한다. 전기차정책, 전기차인프라, 전기차산업 등 3담당 15명으로 구성한다.

 도는 이들 사업에 총 2조549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국비 1조2천831억원, 도비 4천517억원, 기타 3천201억원 등이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이산화탄소 90만4천800t을 감축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소나무 655만9천800그루를 심은 효과와 맞먹는다. 일산화탄소(CO)와 질소산화물(NOx) 등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5천640t이나 줄어든다. 연간 유류비 9천48억원과 에너지 비용 1천783억원을 절감할 수 있다. 온실가스 배출 저감 효과는 788억5천600만원이며, 이에 따른 탄소배출권 구매 비용 절감 효과는 93억1천900만원이다.

 양제윤 전기차 육성담당은 "지난해 초안을 마련하고 나서 정부 부처, 학계, 유관기관, 기업, 전문가 등의 자문을 거치고 도민공청회를 개최해 수렴한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최종 로드맵을 완성했다"고 설명했다.

khc@yna.co.kr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