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낯선 얼굴에 몸놀림 경쾌한 기아차 신형 스포티지

입력 2015년09월22일 00시00분 구기성 기자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지난해 신형 쏘렌토, 카니발을 내놓으며 RV 제품군의 경쟁력을 강화했던 기아자동차가 4세대 스포티지를 출시했다. 도심형 SUV의 원조로 꼽히는 1세대의 후예인 만큼 신차는 기아차에겐 기념비적인 제품이다. 이는 새 차의 서브 네임인 "더 SUV"를 통해서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신차에 또 다른 준중형 SUV의 표준을 창출하겠다는 의지를 담아낸 셈이다.

 5년만에 바뀐 새 스포티지의 4개 트림 가운데 전 품목을 탑재한 2WD 노블레스 스페셜을 탔다. 시승코스는 서울 광장동 W호텔을 출발해 올림픽대로, 서울-춘천고속도로를 지나 춘천 로드힐스 골프클럽을 오가는 140㎞ 구간이다.

 ▲디자인, 상품성
 3세대의 큰 틀에서 벗어나진 않았으나 얼굴이 확 달라졌다. 전면부는 구형의 개성을 모두 지웠다. 헤드 램프는 최대한 위로 끌어올렸고 그릴을 크게 벌려 껑충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안개등을 비롯한 모든 요소를 분리한 데다 연결고리가 부족해 따로 노는 느낌이 강하다. 소비자들의 적응시간이 필요할 것 같다.

 측면의 역동적인 자세는 흐트러지지 않았다. 다만 캐릭터 라인을 대대적으로 수정해 차분한 모습이다. 물갈퀴 모양의 19인치 알로이 휠도 마찬가지다.
 후면부는 3세대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흐름을 반영했다. 분리형 테일 램프를 날카롭게 다듬었고, 그 사이를 이어 크롬 바를 부착했다. LED를 "U"자 형태로 심어 야간주행 시 미등을 켜면 BMW i3와 상당히 닮아 보인다.

 실내는 쏘렌토, 카니발 등 기아차 RV 제품의 정체성을 담았다. 운전석쪽으로 튼 센터페시아는 모니터와 송풍구를 한 틀에 묶었다. 오디오, 에어컨 조작버튼은 계단 형태로 나눠 인간공학적 배려를 표현했다. 역동성의 상징인 D컷 스티어링 휠은 손에 쥐었을 때 딱 맞는다. 그 뒤에 숨긴 기어 조작 레버 "패들 시프터"는 스타일 패키지에 포함했다. 필러를 비롯한 천장은 검정색을, 도어트림과 센터페시아 주요 부분엔 고광택 소재를 써서 고급스러움을 살리려 애썼다. 좌석은 허벅지 압박감을 개선한 3경도 폼을 써서 착좌감이 무난하다.

 30㎜ 늘어난 휠베이스는 뒷좌석 다리공간을 확보하는 동시에 좌석 위치를 낮춰 거주성을 개선했다. 2열 시트의 등받이 기울기 조절범위는 34도에 이르며, 6대4 비율로 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렁크 용량은 503ℓ에서 1,492ℓ까지 확장 가능하다. 트렁크 아래는 비상용 타이어 대신 수리킷을 넣어 수납공간 활용도를 높였다.  편의품목은 앞좌석 통풍·열선, 스마트폰 무선 충전, 온장 컵홀더, 스마트 테일 게이트 등을 마련했다.

 ▲성능
 몸놀림이 경쾌하다. 동력계는 구형과 같은 2.0ℓ 디젤 엔진과 6단 자동변속기의 조합이다. 엔진은 2마력 높인 최고 186마력, 최대 41.0㎏·m의 성능을 발휘한다. 유로6 시대를 맞아 차체 무게가 50㎏ 정도 늘었으나 성능을 효과적으로 낼 수 있게 재조율했다. 실용영역 지향의 설정을 통해 고속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매끄러운 가속이 가능하다.

 고속주행 안정성은 최고속도에 가까워져도 꽤 향상된 움직임을 나타낸다. 앞 서스펜션의 지오메트리 최적화와 후륜 멀티링크 서스펜션에 "#" 서브 프레임을 더해 강성을 강화한 덕분이라는 게 기아차의 설명이다. 승차감은 작은 요철도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딱딱하다. 

 정숙성은 엔진 투과음 및 구동 전달계 개선, 차체 하부 제진패드 확대 등을 통해 가솔린 엔진 수준을 넘어섰다. 최근 현대·기아차의 준중형 이상 디젤차에서 접할 수 있는 특징이다. 소음·진동이 비교적 심한 디젤차의 피로도를 상쇄할 만한 정도로 인상적이다. 브레이크 디스크 크기를 키워 제동력을 높이려 했지만 그 효과는 크지 않다.

 19인치 휠 기준 표시효율은 복합 13.8㎞/ℓ, 도심 12.8㎞/ℓ, 고속도로 15.2㎞/ℓ로, 일반 도심도로와 고속도로를 달린 평균효율은 14.1㎞/ℓ였다. 실제 주행 시 표시효율과 비슷한 수치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

 ▲총평
 새 차의 전반적인 상품성은 완전변경차답게 크게 좋아졌다. 다양한 편의품목과 높아진 차체 강성, 정숙성이 새 스포티지의 매력 포인트다. 비록 전면부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불호가 갈리고 있지만 시간이 해결할 문제다. 적응에는 그리 긴 시간이 걸리지는 않을 것 같다.

 스포티지는 올해 기아차의 최고 기대주로 꼽힌다. SUV 수요 증가 흐름과 세대교체 시기가 맞물려서다. 여기에 2세대 K5의 신차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서 기아차는 새 스포티지의 성공을 갈망하는 분위기다.

 판매가격(자동변속기 기준)은 트렌디 2,346만 원, 프레스티지 2,518만 원, 노블레스 2,601만 원, 노블레스 스페셜 2,842만 원이다.

구기성 기자 kksstudio@autotimes.co.kr

▶ [시승]기본으로 이룬 혁신, 현대차 아반떼 1.6ℓ 디젤
▶ [그 남자의 시승]프랑스식 실용과 합리주의, 푸조 2008
▶ [시승]준중형 스포츠 세단의 철옹성, BMW 320d
▶ [시승]강한 심장의 이식, 렉스턴W·코란도 투리스모
▶ [시승]하이브리드 표준을 유지하다, 렉서스 ES300h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