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제네시스 EQ900에 유압식 서스펜션 채택 왜?

입력 2015년11월26일 00시00분 오아름 기자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현대자동차가 에쿠스 후속인 "제네시스 EQ900"에 에어 서스펜션 대신 유압식을 채택한 배경에 이목이 집중된다. 

 26일 현대차에 따르면 신형은 기존 에쿠스에 탑재됐던 전자제어 에어 서스펜션 대신 2세대 제네시스에 사용했던 유압식을 장착했다. 새 서스펜션은 글로벌 부품업체인 삭스(SACHS)와 공동 개발했다. 서스펜션의 제어 범위와 기능을 향상시키고, 섀시통합제어기능을 더한 게 특징이다. 특히 유로(油路)를 1개에서 2개로 늘려 감쇠력을 보다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응답성도 빨라졌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기존에 사용했던 에어 서스펜션은 공기의 탄성효과를 이용해 차체를 지지하는 현가장치다. 고유 진동수가 낮아 제진성능을 얻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 넓어 진동저감 성능이 우수하다. 공기 양을 제어, 차고 조절과 조종안정성 향상 효과도 있다. 때문에 승차감이 중요한 대형 상용차에 먼저 활용됐으며, 여러 고급 대형차가 이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메르세데스-벤츠 S클래스, BMW 7시리즈에 적용된 서스펜션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을 상쇄할 만큼 상당한 단점도 존재한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댐핑 압력을 높일수록 서스펜션의 구성 부품이 견뎌야하는 힘이 커져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 외부 충격에 약해 에어 서스펜션이 쉽게 퍼지고, 컴프레서 등에 문제가 생기면 공기를 채우는 게 불가능하다. 복합적인 기능 만큼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 가격이 비싼 것도 단점으로 꼽힌다. 

 따라서 현대차는 내구성이 떨어지는 에어 서스펜션 대신 유압식을 선택했다는 설명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삭스와 새로 개발한 새 서스펜션은 에어 서스펜션만큼 안정적이고 부드러운 승차감을 구현한다"며 "에어 서스펜션의 장점을 취하되 내구성 등 단점은 보완한 것이 특징"이라고 전했다. 


오아름 기자 or@autotimes.co.kr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