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자동차에서 삼성은 그저 협력업체일 뿐…

입력 2015년12월22일 00시00분 권용주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삼성의 전장사업 진출을 두고 여러 해석이 오가는 중이다. 하지만 자동차업계에서 삼성의 전장사업 진출은 이미 오래전부터 예견됐던 사안이다. 이른바 내연기관, 즉 엔진을 제외한 필요 부품을 이미 만들고 있어서다. 덕분에 이번 삼성의 전장사업 진출을 바라보는 자동차업계의 시선도 차분하다. 오히려 "삼성이 하면 다를 것"이라는 시장의 전망과 달리 "삼성도 완성차회사의 "을"이 될 수밖에 없다"는 시각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완성차업계에선 삼성보다 이들의 전장사업 파트너가 될 완성차회사를 주목하고 있다. 이른바 삼성이 내미는 구애(?)의 손을 누가 먼저 잡을 것이냐가 관심거리다. 사업에 진출한 이상 단기간 규모의 경제를 이뤄야 하는 삼성으로선 대형(?) 파트너가 필요하지만 국내외 완성차회사는 이미 전기 및 스마트카와 관련해 자체 공급망을 확보한 만큼 급할 게 없어서다.
 

 따라서 현재 시선이 몰리는 곳은 당연히 르노삼성이다. 삼성카드가 여전히 19.9%의 지분을 가지고 있는 데다 2020년까지 국내에선 르노가 삼성 브랜드를 쓰도록 돼 있어 삼성으로선 자연스럽게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에 손을 내미는 게 쉬워 보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일본 내 자동차조사기관인 포인에 따르면 르노-닛산 얼라이언스는 지난해 르노 320만대와 닛산 530만대 등 모두 850만대를 생산해 글로벌 4위를 차지했을 만큼 규모가 적지 않다는 점도 이유로 꼽힌다. 더불어 지난해 판매된 20만대의 EV 가운데 무려 43.5%에 달하는 8만7,000대의 EV를 르노-닛산 얼라이언스가 공급한 점도 무시할 수 없는 요소다. 삼성으로선 르노-닛산이야말로 스마트 EV 진출의 가장 적절한 파트너가 된다는 얘기다.

 하지만 르노-닛산이 삼성의 손을 잡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 이미 LG화학 배터리를 쓰고 있는 데다 르노-닛산 또한 글로벌 소싱을 하고 있어서다. 이른바 "삼성"이라고 르노-닛산에 있어 특별한(?) 존재는 결코 아니라는 얘기다. 이에 대해 중앙대 경영학과 이남석 교수는 "삼성카드가 보유한 르노삼성의 19.9% 지분은 의결권이 없다"며 "르노-닛산이라고 삼성에 납품 인센티브를 줄 여지는 없다"고 설명한다.

 현재 삼성이 배터리를 납품한다는 점에서 BMW와 폭스바겐 등도 물망에 올라 있다. 하지만 이들 또한 이미 오래 전부터 전장사업 분야에서 탄탄한 기술력을 쌓아 온 콘티넨탈이나 보쉬와 끈끈한 협력 관계를 맺고 있어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게 완성차업계의 해석이다.  

 이런 이유로 단기간 삼성이 전장사업의 성과를 내기 위해선 해외 대형 부품업체 인수를 점치기도 한다. 중앙대 이남석 교수는 "삼성의 전장 사업 관건은 기술력 뿐 아니라 거래를 하더라도 다른 부품업체와 제휴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필요에 따라 전장사업에 특화된 자동차 부품업체를 인수하는 방법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이 교수는 삼성이 자동차사업을 바라보는 시선을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는 "여러 컨설팅회사의 조사 결과를 토대로 했겠지만 삼성이 과거 완성차회사를 할 때와 지금의 자동차산업은 전혀 다르다"며 "삼성이라는 이름만 믿고 전장사업을 펼치려 한다면 매우 위험한 생각"이라고 언급한다. 삼성이 스마트폰에서 성공을 거두었다고 자동차에서도 그렇게 될 것으로 본다면 오히려 낭패를 볼 수 있다고 충고하는 셈이다.

 삼성의 손을 잡아줄 곳으로 국내 현대기아차도 후보에 올라 있다. 하지만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삼성이라고 다를 게 없다"며 "설령 삼성의 전장 부품을 납품받는다 해도 여러 협력업체 가운데 하나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다시 말해 현대기아차가 볼 때는 삼성 또한 공급사 중 하나일 뿐 특별함은 없다는 의미다. 삼성이 나선다고 마치 무언가 대단한 것처럼 여기는 것 자체가 이해되지 않는다는 반응이다.

 이런 측면에서 중앙대 이남석 교수는 그림을 언급한다. 이 교수는 "삼성이 전장사업을 제대로 하려면 그림을 잘 그려야 하는데, 이를 위해선 조직 내부의 벽부터 허물어야 할 것"이라고 말한다. 또한 자동차산업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부터 배워야 한다는 점도 잊지 않는다. 삼성이 IT의 공룡일 지는 몰라도 자동차로 오면 그저 존재감 약한 공급사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고 말이다. 

 권용주 선임기자 soo4195@autotimes.co.kr 

▶ [시론]2020만대 중 100만대의 친환경차?
▶ [시론]전기차의 불편한 진실을 아시나요?
▶ [시론]현대차의 프리미엄 선택은 필수였나
▶ [시론]폭스바겐 사태, 산업 전쟁의 산물인가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