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 판매방식 '수입차업계'처럼 재편한다

입력 2016년04월25일 00시00분 오아름 기자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르노삼성자동차가 장기적인 판매전략으로 수입차와 같은 판매체제를 구축한다. 이른바 판매사가 재고부담을 떠안는 "홀세일(Whole sale) 방식"을 도입하는 것.  


 25일 베이징모터쇼장에서 만난 이 회사 박동훈 사장은 "기존 개인 대리점은 유지하겠지만 법인판매사를 더욱 늘려 갈 계획"이라며 "법인판매사의 경우 수입차판매사처럼 영업과 정비 서비스를 스스로 해결하고 재고까지 부담해야 하는 홀세일 방식"이라고 말했다. 

 단기간에 모든 대리점을 법인판매사로 변경하는 건 무리이지만 장기적으로 판매사가 서비스와 재고를 책임지는 게 합리적이라는 게 회사측 판단이다.

 박 사장은 "현재 구조로는 개인 소비자가 영업사원을 통해 차를 살 경우 문제가 생기면 책임을 물을 수 없다"며 "따라서 판매사가 차를 파는 것부터 고치는 것까지 온전히 해결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수입차업계처럼 판매사별로 할인혜택을 운용하거나 서로 경쟁하는 구도가 필요하다"는 설명도 내놨다.  

 박 사장은 국내와 같은 판매 방식은 해외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들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대·기아자동차가 채택(판매와 서비스를 분리한)한 방식은 그들이 만든 것"이라며 "한국지엠이 과거 메가딜러 5~6곳을 지정했던 것과 달리 50~60개 판매사가 각자 책임지도록 하는 게 옳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러한 판매구조에 익숙한 수입차판매사들이 르노삼성으로 속속 모여드는 것도 같은 배경"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폭스바겐을 비롯해 혼다와 푸조 등을 판매하는 판매사들이 르노삼성 판매에 속속 뛰어들었다. 
 
 박 사장은 "아직 르노삼성 판매점이 없는 지방도시가 많다"며 "이러한 곳까지 네트워크를 확장하려면 판매가 괜찮은 지역을 함께 맡을 수 있도록 이익을 보전해주는 장치가 필요한 만큼 그런 점에서 개인보다 (여러 곳을 운영할 수 있는) 법인판매사를 선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 같은 판매체제 변화가 단기적으로 이뤄지는 건 아니다. 대리점주들의 생계와 직결하는 부분이어서 박 사장은 "함께 잘 사는 방식을 도모하자는 것일 뿐"이라며 "장기적인 문제여서 언제까지 홀세일 방식을 완료하겠다는 구체적인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베이징=오아름 기자 or@autotimes.co.kr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