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차를 믿어? 젊은 층일수록 신뢰 높아

입력 2016년05월02일 00시00분 권용주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이른바 스스로 운전하는 자율주행차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젊은 소비층일수록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젊은 층으로 분류되는 Y세대는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6%가 "신뢰한다"는 반응을 보여 베이비붐 이전 세대의 18%보다 자율주행차에 대한 신뢰도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2일 미국 내 자동차 만족도 조사기관인 JD파워에 따르면 먼저 세대별 구분은 베이비붐 전 세대(1946년생 이전), 베이비 붐(1946-1964년생), X세대(1965-1976년생), Y세대(1977-1994년생), Z세대(1995-2000년생)로 나눴다.


 조사에 따르면 자율주행차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인 세대로 Y세대(56%), Z세대(55%), X세대(41%) 등이 꼽혔다. 반면 베이비붐 세대의 23%, 베이비붐 이전 세대는 18%만이 자율주행 기술을 신뢰한다고 응답해 대조적인 모습을 나타냈다.
 
 또한 "자율주행 기술을 절대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에선 X세대 27%, Y세대 18%, Z세대가 11%로 적은 반면 베이비붐 세대는 39%. 전 세대는 40%가 불신을 보여 젊은 세대보다 기술신뢰도가 낮은 것으로 해석됐다.

 JD파워는 이번 조사에서 신규기술에 대한 소비자인식과 기술 신뢰도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지만 신기술 노출기간과 경험이 기술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만큼 젊은 세대를 확보하기 위해 자동차회사가 보다 접근성이 높은 일반차에 신기술을 적용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또한 모든 세대가 사이버해킹이 자율주행 기술의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응답한 만큼 향후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중 사고가 발생한다면 신뢰도가 급락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미국 미시건주는 자율주행차나 커넥티드카 해킹에 따른 피해가 심각한 사고로 발전할 수 있다는 위험을 인식, 자동차 해킹범죄를 중죄로 처벌하는 법안을 최근 발표했다. 해당 법안에 따르면 의도적으로 자동차를 해킹해 파손하거나 무단 통제할 경우 무기징역에 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권용주 기자 soo4195@autotimes.co.kr

▶ 코란도 투리스모, "경쟁력은 4WD"
▶ 국토부, 현대기아차·한국지엠·닛산·렉서스·볼보트럭 리콜
▶ [기자파일]베이징 모터쇼가 부러운 이유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