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車인포테인먼트 美특허 8위…1위는 GM"<

입력 2016년08월10일 00시00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 최근 삼성전자와 구글 등 IT 전자업체의 자동차 전장 사업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관련 기술 개발은 여전히 전통적인 완성차 업체가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미국의 지적재산권(IP) 전문 사이트인 IP워치도그가 최근 상위 20개 기업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미국 특허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1위는 GM으로 전체 특허의 21.4%를 보유했다. 포르셰(12.3%)와 포드자동차(9.1%)가 각각 2, 3위를 차지했고 텔레매틱스 업체 에어비퀴티(7.8%), 음향 전문기업 하만(6.5%)이 각각 4, 5위로 집계됐다. 혼다자동차는 6위(5.8%), 자동차 부품업체 로버트보쉬는 7위(4.5%)였다. 삼성전자는 3.9%로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업체 제스퍼테크놀로지, 인텔과 공동 8위에 그쳤다.

 인포테인먼트는 IT 기술을 도입해 차 안에서 내비게이션과 오디오, 전화통화 등의 기능을 스마트폰처럼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미 최근 출시되는 차량에는 라디오와 에어컨 등 다양한 기능을 조절하는 스위치가 사라지고 터치스크린과 음성명령이 이를 대체하는 추세다.

 포드는 2017년식 라인업 전 차종에 다양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차량 LCD 터치스크린으로 활용할 수 있는 3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싱크3"를 탑재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차도 주요 차종을 중심으로 구글 안드로이드 오토와 애플 카플레이를 확대 적용하는 추세다. 폴크스바겐도 지난달 LG전자와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서비스 플랫폼과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기술 공동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

 IP워치도그는 "완성차 업체들의 차량 인포테인먼트 특허 포트폴리오가 전자회사들을 훨씬 앞서고 있으며 이는 자율주행 분야에서도 비슷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자율주행 분야에서도 완성차 업체들이 IT 전자업체보다 더 많은 특허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톰슨로이터가 발표한 "2016 자율주행차 혁신(2016 State of Self-Driving Automotive Innovation) 보고서에 따르면 자율주행 3대 핵심 분야 중 텔레매틱스에서 현대차의 특허는 170여건으로 세계 2위였다. 이어 LG전자가 70여건, 삼성전자가 40여건으로 각각 4위와 6위에 올랐다. 1위는 320여건을 보유한 GM이었다.


bluekey@yna.co.kr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