쉐보레가 트랙스 부분변경을 공개하며 소형 SUV 경쟁에 다시 불을 지폈다. 소형 SUV 시장은 최근 글로벌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경쟁이 치열해진 차급으로, 젊은 소비자를 사로잡기 위해 다양한 신차가 출시돼 왔다. 그 중 쌍용자동차 티볼리는 국내 시장 돌풍의 중심에 선 제품으로, 높은 점유율은 물론 회사 분위기 쇄신 효과를 발휘하기도 했다. 트랙스는 국산 첫 소형 SUV로 그간 판매가 저조했지만 이번 부분변경을 통해 제품력을 극대화했다. 트랙스와 티볼리를 비교했다.
▲크기 트랙스는 길이 4,255㎜, 너비 1,775㎜, 높이 1,680㎜(루프랙 적용), 휠베이스 2,555㎜다. 이와 비교해 티볼리는 길이 4,195㎜, 너비 1,795㎜, 높이 1,600㎜(루프랙 적용), 휠베이스 2,600㎜을 확보했다. 트랙스가 60㎜ 길고 80㎜ 높다. 그러나 실내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휠베이스는 티볼리가 45㎜ 길고 폭도 20㎜ 넓다. 공차중량은 트랙스가 1,370~1,415㎏로 티볼리(자동변속기, 2WD 기준)의 1,300~1,395㎏보다 20~70㎏이 더 나간다.
▲성능 및 효율 트랙스의 동력계는 4기통 1.4ℓ 가솔린 터보, 1.6ℓ 디젤 두 가지 엔진과 GenⅡ 6단 자동변속기를 조합했다. 각각 최고 140마력, 최대 20.4kg·m, 135마력, 32.8㎏·m를 발휘한다. 효율은 가솔린 12.2㎞/ℓ(도심 11.1㎞/ℓ. 고속도로 14.1㎞/ℓ), 디젤 14.7㎞/ℓ(도심 13.5㎞/ℓ. 고속도로 16.4㎞/ℓ)다.
티볼리는 4기통 1.6ℓ 가솔린 e-XGi160(126마력, 16.0㎏·m), 디젤 e-XDi160 LET(115마력, 30.6㎏·m) 엔진을 얹는다. 변속기는 아이신 6단 자동변속기를 맞물렸다. 효율(자동변속기, 2WD 기준)은 가솔린 11.4㎞/ℓ(도심 10.1㎞/ℓ, 고속 13.4㎞/ℓ), 디젤 14.7㎞/ℓ(도심 13.1㎞/ℓ. 고속도로 17.2㎞/ℓ)를 확보했다.
동력성능은 트랙스가 가솔린, 디젤 모두 압도적이다. 효율은 비슷한 수준으로 가솔린의 경우 트랙스가 소폭 우세하다. 엔진은 모두 가솔린과 디젤을 준비했지만 티볼리는 4WD 시스템을 갖춰 선택지가 더 넓은 점이 특징이다.
▲편의·안전품목 트랙스는 애플 카플레이, 브링고 내비게이션 지원이 가능한 쉐보레 마이링크 인포테인먼트를 채택했으며 BOSE 음향 시스템도 제공한다. 이밖에 버튼 시동&스마트 키, 크루즈 컨트롤, 오토라이트 컨트롤, 헤드램프 각도조절장치 등을 마련했다. 안전품목은 후방카메라와 사각지대경고, 차선이탈경고, 전방충돌경고, 후측방경고, 경사로밀림방지 등을 장착한다.
티볼리는 7인치 AVN, 듀얼 존 풀오토 에어컨을 비롯해 크루즈 컨트롤, 버튼 시동&스마트 키, 하이패스 룸미러. 스마트 스티어 등을 지원한다. 긴급제동보조시스템(AEBS), 전방추돌경보시스템(FCWS), 차선유지보조시스템(LKAS), 차선이탈경보시스템(LDWS), 스마트하이빔(HBA)을 포함하는 운전자지원시스템(ADAS)도 특징이다.
▲가격 트랙스는 가솔린 1,845만~2,390만원, 디젤 2,085만~2,580만원이다. 티볼리(에어 제외)는 가솔린 1,651만~2,221만원, 디젤 2,060만~2,346만원이다. 트랙스는 이전보다 가격을 인하했지만 티볼리가 전반적으로 낮게 책정됐다. 하지만 상품성 측면에서 쉐보레가 자신감을 보여 두 차종의 경쟁이 기대된다.
구기성 기자
kksstudio@autotimes.co.kr▶ [영상]쉐보레 트랙스, 소형 SUV 원조가 돌아오다▶ 쉐보레, "더 뉴 트랙스는 팔방미인"▶ 쉐보레, 신형 트랙스 1,845만원부터…"제대로 붙자"▶ "스파크 vs 모닝", 올해 경차 1위 유리한 차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