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車산업 질주…2030년까지 수소 전기차 100만대 보급

입력 2016년11월08일 00시00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베이징=연합뉴스) 심재훈 특파원 = 중국이 하이브리드차, 전기차를 뛰어넘는 궁극의 친환경차로 꼽히는 수소 전기차 분야에서 세계 최대 시장으로 급부상할 전망이다. 중국이 2030년까지 수소 전기차 100만대를 보급해 수소 전기차 분야 세계 1위로 올라설 계획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소 전기차 분야 세계 최고 기술을 가졌지만 보급이 지체되는 한국으로선 중국 토종 업체들에 세계 시장을 뺏길 위기에 몰렸다.

 8일 중국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최근 수소 전기차를 미래 산업을 지정해 2020년까지 5천대, 2025년까지 5만대, 2030년까지 100만대를 보급하기로 했다. 내년 초부터 가동되는 수료 연료전지 스택 공장을 통해 연간 1천대 수소 전기차 생산이 가능해진다. 수소 전기차란 공기를 정화해 연료전지 스택(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와 물을 만드는 주요 장치)에 공급해 작동하는 친환경 차량이다.

 앞서 중국 과기부는 이런 계획을 지난 7일 베이징에서 열린 제1회 국제연료전지 포럼에서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포럼에는 도요타, 혼다, BMW, 현대자동차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 국제에너지기구 등이 총출동했다.

 중국은 수소 전기차 보급을 위해 수소 충전소를 2020년까지 100기, 2025년까지 300기, 2030년까지 1천기를 구축하기로 했다. 특히, 2020년까지 5천만원대의 수소 전기차를 시범 생산해 운영한 뒤 2025년 3천400만원까지 가격을 낮춰 대량 생산 체제에 진입할 계획을 세웠다. 수소 공급도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절반 이상 조달할 방침이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4월 "2016~2020년 신에너지 차량 확대 보급 사용" 계획에서 전기차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는 단계적으로 보조금을 축소하는 반면 수소 전기차 보조금은 유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중국은 이미 광둥(廣東)성 윈푸와 장쑤(江蘇)성 루가오 등에서 총 33대의 수소 전기차 시범 운행을 하고 있으며 윈푸에서는 수소 전기 버스도 생산할 계획이다.

 수소 전기차 보급에 총력을 기울이는 것은 중국뿐만이 아니다. 일본은 지난 2013년부터 에너지 기본계획법을 통해 "수소 사회" 실현을 명문화했다. 이미 일본은 도요타 "미라이" 출시를 통해 수소연료전지 시장을 보급 단계로 전환했고 2030년 수소 충전소 900기 구축, 수소 전기차 80만대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요타의 연료전지시스템을 적용해 히노사에서는 수소 전기버스를 개발하고 있다. 일본은 "수소 올림픽"을 명명한 2020년 도쿄올림픽에 50대를 투입한 뒤 이후 상용화할 방침이다.

 도요타, 혼다, 닛산 등 완성차 업체와 JX에너지, 이와타니산업, 도쿄가스 등 에너지 업체는 공동 법인 설립을 통한 충전소 확충도 검토 중이다.

 미국은 캘리포니아 주 정부 주도하에 오는 2025년까지 330만대의 차량을 보급하고, 다수의 완성차 및 에너지 업체가 참여하는 수소 전기차 충전소 보급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유럽은 독일, 프랑스, 영국, 북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수소 전기차 차량 및 충전소 보급을 늘리고 있다. 유럽은 수소 전기버스 상용화를 위한 CHIC 등의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오는 2020년까지 500~1천대를 보급한 뒤 상용화할 계획이다. 프랑스는 지난 2013년에 수소 전기차 로드맵을 발표해 2030년 수소 전기차 80만대 보급, 수소 충전소 600개 구축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우리 정부도 오는 2020년까지 국내 누적 보급 1만대 및 수소 충전소 100기 구축을 목표로 내걸었으나 수소 충전소가 현재 9기에 불과하고 이마저도 연구용으로 쓰이는 등 정부 지원이 열악한 상황이다. 현재 출시된 수소차는 현대차 투싼ix와 도요타 미라이, 혼다 클래러티에 불과하지만, 중국이 중국 토종 업체들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어 수소 전기차 또한 "드론"처럼 중국 업체가 세계 시장을 제패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2020년 이후 수소 전기차 대중화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면서 "중국을 비롯해 유럽, 일본도 정부의 정책 지원 속에 속도를 내서 수소 전기차 보급에 나서고 있으나 한국은 기술 개발을 먼저 해놓고 정작 보급에서는 정체돼 시장을 뺏길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president21@yna.co.kr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