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충돌경고장치, 확실히 사고 줄여

입력 2016년11월10일 00시00분 구기성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전방충돌경보장치의 사고 예방 효과가 설문조사와 비교분석을 통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설문조사는 금호고속 운전자 100명을 대상으로 장치 장착 전·후의 교통사고를 비교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사고감소 기여도에서 72명이 만족했으며 장착 권유도에서 80명이 긍정적이라고 답변했다.

 또한, 전방충돌경보장치를 장착한 2015년 6월을 기준으로 전 후 16개월의 교통사고를 비교분석한 결과 사고 발생건수는 8건이 감소했으며, 피해자도 46명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기간 내 추돌경보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동종 업체는 사고가 증가한 경향을 보여 장비 장착의 사고감소 기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는 게 공단 측 설명이다.

 전방충돌경보장치는 센서가 주행 중 전방 충돌 위험을 감지하면 운전자에게 경고음 등으로 알려 사고를 막을 수 있는 안전장치다. 충돌 예상보다 2.5초 전이나 80㎞/h 주행 시 선행차 45m 뒤에서 작동한다.

 공단 오영태 이사장은 "금호고속의 추돌경보장치 장착은 교통 사고감소를 위한 업계의 자발적인 모범사례"라며 "안전이 이익이 된다는 운수업계 사업의식 전환과 긴급제동보조시스템(AEB), 졸음운전 경고시스템 등 첨단안전기술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 7월 버스, 화물 등 대형 사업용차에 의한 교통사고를 사전에 막기 위한 "사업용 차 교통안전 강화대책"을 발표했다. 그 일환으로 운행 중인 대형 사업용차에 전방충돌경고기능(FCWS)를 포함한 차로이탈경고장치(LDWS) 장착 의무화를 추진 중이다.


구기성 기자 kksstudio@autotimes.co.kr

▶ 현대차 아이오닉, 독일 전문지 평가서 프리우스 앞서?
▶ 하이엔, 고급택시로 환자 이동 지원한다
▶ [칼럼]자동차가 스스로 사고를 피하는 시대
▶ [시론]트럼프가 한국차의 생산을 줄일까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