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파일]BMW가 영화를 만드는 이유는?

입력 2016년12월19일 00시00분 구기성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BMW코리아가 지난 16일 독일 본사가 제작한 단편 영화 "더 이스케이프(The Escape)"를 공개하고 2001년부터 2년간 내놓은 "더 하이어(The Hire)" 시리즈를 볼 수 있는 작은 미디어 행사를 진행했다. 15년 전 작품에 대한 존경을 담은 새 영화와 과거 영화를 간단한 해설과 함께 보여준 것.

 8편으로 이뤄진 더 하이어는 시즌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그러나 시즌1은 주연 배우만, 시즌2는 주연 배우와 차(Z4)만 같을 뿐 모두 다른 감독, 이야기로 구성했다. 작품 고유 특성 외에 감독 개성에 따라 다른 영상미와 줄거리를 풀어가는 과정을 비교하는 재미도 노린 것이다. 인물 성격마다 배역이 중요하듯 내용에 맞는 제품을 등장시키는 데도 주력했다. 더 이스케이프 역시 같은 맥락으로 오랜만에 명맥을 이었다.


 BMW는 유독 영화 지원을 많이 해왔다. 대표적인 사례가 "007 시리즈"의 본드카다. 1995년 007 골든 아이(Z3)를 시작으로 네버 다이(1997년, 7시리즈), 언리미티드(1999년, Z8)까지 세 편 동안 원조 본드카로 꼽히는 애스턴마틴을 대신하며 홍보 효과를 높였다. 단편 영화 제작에 앞서 제품 협찬을 통해 재미를 봤을 것이라는 게 업계 시각이다.

 사실 자동차를 화면 속에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은 한계가 있다. 주인공이 타고 등장하는 것 아니면 쫓고 쫓기는 장면에 잠깐 소개되는 정도가 고작이다. 흔히 영화 속 자동차 등장은 이런 추격 장면으로 일관되지만 BMW가 만든 영화는 그 장면의 필연성을 담은 배경과 과정을 보여줘 주목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단지 자동차가 역동성을 뽐내는 볼거리로 등장하는 게 아니라 파트너 및 조력자 역할을 부여해 재미를 더한 셈이다.

 더 이스케이프 역시 신형 5시리즈가 주인공의 파트너로 등장했다. 전편보다 내용은 다소 아쉽지만 주행 장면은 새 차의 역동성을 보여주기에 부족하지 않았다. 클라이브 오웬, 다코타 패닝 등의 배우가 열연했지만 출시를 앞둔 신차에 눈길이 가는 건 BMW가 노린 스토리텔링 전략이었을 것이다. 그래서 다음엔 어떤 차로 어떤 이야기를 보여줄 지 기대된다. 그리고 한국에 들어올 새로운 7세대 5시리즈도....



구기성 기자 kksstudio@autotimes.co.kr

▶ [칼럼]"이익"은 내연기관, "투자"는 전기
▶ 자동차구분, 배기량 대신 탄소배출로 가나
▶ 자동차끼리 대화하는 시대 "성큼"
▶ 운전경력 긴 사람이 사고 더 많이 낸다…"베테랑의 역설"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