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로 인한 소비 위축 등 내수 부진 전망...글로벌시장도 제한적 성장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자동차 업계가 힘든 한 해를 보낼 것으로 전망된다. 경기 침체로 인한 소비 위축 등으로 내수는 더 위축될 것으로 보이며, 해외시장도 미국과 유럽의 성장 둔화, 중국의 세제 혜택 축소 등으로 소폭 성장하는데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시장
내년 국내시장 판매량은 2016년 대비 2% 이상 하락해 180만대에도 못 미칠 것으로 전망됐다. 자동차산업협회는 2017년 내수 판매량을 지난해대비 2.8% 감소한 175만대로 예측했고,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경영연구소도 2.4% 줄어든 176만대로 예상했다.
개별소비세 인하 정책 종료, 가계 부채 증가로 인한 소비 심리 위축 등이 시장 부진 요소로 꼽혔다. 다양한 차급의 신차 출시, 노휴경유차 교체 지원 등 긍정적 요인에도 불구 가라앉은 소비 심리를 진작시키기에는 역부족으로 분석됐다.
국산차 판매는 승용차 4.6%, 상용차 1.1% 등 전체적으로 4.0%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다만 레저문화 확산으로 소형 SUV 등 SUV차종은 내년 판매량이 1.7% 증가한 43만5,000대로 강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올해 배출가스, 인증서류 조작으로 최악의 실적을 기록한 수입차업계는 내년 상대적으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점쳐졌다. 수입차는 아우디폭스바겐 판매 재개, 신차 라인업 확대, PHEV 등 친환경차 확대로 올해보다 4.8% 증가한 27만대를 팔 것으로 보인다.
▲수출
국제유가 반등에 따른 중동과 동남아시아 등 신흥국들의 경기 회복 기대감으로 내년 수출은 올해보다 0.4% 증가한 269만대로 전망된다. 수출액은 0.5% 증가한 415억 달러(약 49조 7,000억원)규모로 예상됐다.
또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관세인하, 국산차의 품질 및 브랜드가치 상승도 수출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세계 자동차시장의 성장률 둔화, 미국 등 보호무역주의 확산, 국내 완성차 업체의 해외생산 비중 확대는 수출 증가를 가로막는 부정적 요인으로 꼽힌다.
지역별로는 동유럽, 중동, 중남이, 아프리카 시장은 수출이 증가하는 반면, 북미, 유럽연합(EU), 아시아 지역은 수출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EU를 제외한 동유럽 등 기타 유럽지역은 러시아의 경기회복에 따른 소비심리 개선, 쌍용차의 신규 진출국 판매 확대 등으로 수출이 14.9% 가량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시장
내년 글로벌시장의 자동차 수요는 올해보다 소폭 증가한 9,000만대 초반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자동차산업협회는 2017년 세계 자동차 수요를 미국의 성장 둔화, 중국의 소형차 취득세 인하 종요, 인도 시장 성장 등으로 지난해 대비 1.5% 증가한 9,613만대로 예측했다. 현대차 글로벌경영연구소는 내년 성장주도 시장 부재로 9,068만대로 예상했다. 미국, 중국 등 기존 시장이 성장 정체를 맞을 것으로 예상된 반면 인도와 아세안 시장은 각각 6.2%, 7,6%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최용순 기자 yms9959@aut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