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차의 평균 부식 발생률이 수입차의 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컨슈머인사이트의 조사에 따르면 국산차의 부식 발생 건수는 수입차의 4배 이상이었고 시간이 지나면 6배 이상으로 상승했다. 국산 브랜드 중에서는 르노삼성이 가장 문제가 적었으며 나머지 4개사는 비슷했다. 가장 부식 발생이 많은 부위는 하체 머플러(배기통), 도장면(외판) 도어와 뒷바퀴 휀더 등이 꼽혔다.
조사는 새차 구입후 1년 이상 경과한 소비자(4만2,000여명)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부식을 세 부문(도장면, 하부, 기타)으로 나눠 도장면 7개 부위, 하부 5개 부위, 기타 1개 등 총 13곳에 대해 문제 발생 건수를 집계했다. 지적된 부위수의 100대당 평균을 구해 "부식 발생부위(건)수"를 비교했으며 편의 상 보유기간을 "1~5년", "6~10년", "11년 이상"으로 나눴다.
국산차의 부식발생 부위수는 "1~5년" 21건, "6~10년" 67건, "11년 이상" 137건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게 증가했다. 반면 수입차는 "1~5년" 5건, "6~10년" 16건, "11년 이상" 22건으로 국산차의 25% 수준에 그쳤다. 특히 "11년 이상"에서는 국산차의 6분의 1 미만에 불과했다.
부식 발생 부분을 크게 도장면과 하부 2개로 나눠 비교하면 국산차와 수입차간 더 큰 차이가 났다. 국산차의 도장면 부식이 "11년 이상"에서 크게 증가(72건)해 수입차(9.6건)의 7.5배에 달했다. 상대적으로 국산차의 도장면이 더 취약하다는 결과다. 다만 국산차 브랜드 중에서는 르노삼성이 문제가 가장 적었다. 르노삼성은 "1~5년" 14건, "6~10년" 36건, "11년 이상" 54건으로 수입차 품질 수준에 근접했다.
컨슈머인사이트 관계자는 "국산차의 부식 발생 비율이 유난히 높다"며 "부식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
오아름 기자
or@autotimes.co.kr▶ [기획]2017년 수입차 내수전망②-유럽차 "대체로 맑음"▶ BMW미래재단, 소외계층 어린이 지원▶ 만도ㆍ보쉬 "특허전쟁"…보쉬 "고소"에 만도 "맞고소"▶ FCA도 배출가스 조작?...짚 그랜드 체로키 등 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