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연료車'에 한걸음 더…국내 연구진 물 분해 신촉매 개발

입력 2017년02월14일 00시00분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울산=연합뉴스) 김근주 기자 = 휘발유 등 화석연료 대신 물을 사용해 주행할 수 있는 자동차 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 획기적인 신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백종범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이 금속의 일종인 루테늄(Ru)과 2차원 유기 구조체 "C₂N"을 합성해 새로운 물 분해촉매 "Ru@C₂N"을 만들었다고 14일 밝혔다. 백 교수팀의 연구 성과는 나노과학 분야 권위지인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Nature Nanotechnology)"에 실렸다.

 현재 상용화 단계에 있는 수소연료차는 수소와 산소가 만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이번에 개발한 촉매를 이용하면 수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름 대신 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자동차 개발도 앞당길 수 있다는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특히 환경오염 없이 차량 연료용 수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했다. 기존에는 메탄가스에 수증기를 섞어 고온고압으로 처리해 분리시켜 수소를 얻는데, 이때 탄소도 함께 나오기 때문에 환경오염 소지가 있다.

 물 분해촉매로는 백금이 널리 쓰이고 있으나 현재 1g당 가격이 7만8천원으로 비용적 측면에서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또 염기성 물에서는 상대적으로 쉽게 녹아 안정성이 낮은 제약이 있다는게 연구팀의 주장이다. 연구팀은 백금을 대신할 촉매를 찾기 위해 벌집 모양의 유기구조체 "C₂N"에 루테늄, 코발트, 니켈, 납 등을 합성해 실험하던 중 루테늄을 사용했을 때 백금 촉매와 거의 비슷한 효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루테늄과 "C₂N"을 합성한 "Ru@C₂N"이 백금 촉매에 버금가는 성능으로 물(H₂0)에서 수소(H)와 산소(O)의 결합력을 약화시킨 것이다. 안정성도 높아 염기성 물에선 백금과 비교해 더 높은 효율을 보였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루테늄은 백금과 같은 금속이지만, 귀금속으로 쓰이지 않아 가격이 백금의 4%에 불과하다. 촉매로 만드는 방법도 "C₂N"에 넣어 열처리하면 돼서, 실제 촉매로 만드는 비용은 백금 촉매의 1% 수준까지 낮아질 수 있다고 연구팀은 소개했다.

 백 교수는 "비용, 안정성, 내구성, 낮은 전압에도 구동하는 성질 등 모든 요소를 고려하면 세계 최고 성능의 물 분해촉매를 개발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canto@yna.co.kr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