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위아가 터보차저 독자 양산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현대위아에 따르면 터보차저 전문회사인 현대위아IHI터보(HWIT)가 일본의 자동차부품회사 이시카와(IHI)와의 합작관계를 종료하고 기술제휴체제로 전환했다. HWIT는 지난 2013년 현대위아가 수입에 의존해 온 터보차저를 국산화하기 위해 터보차저 기술력을 가진 IHI와 51%대 49%의 지분 합작으로 세운 회사다.
터보차저는 자동차 엔진에서 나온 배기가스 압력 등의 에너지를 활용, 터빈을 회전시켜 출력을 높이는 부품이다. 1,600㏄ 가솔린 엔진에 터보차저를 장착하면 최고출력이 60% 정도 향상된다. 낮은 배기량의 엔진으로도 높은 출력을 낼 수 있어 다운사이징시대의 핵심 부품으로 꼽힌다.
현대위아는 합작관계 종료에 따라 5월부터 독자적으로 터보차저를 생산한다. 생산중인 터보차저는 감마엔진(가솔린)과 A2엔진(디젤)용으로 연간 20만 대 규모다. 오는 2020년까지 연간 120만 대 이상의 생산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다.
회사측은 이와 함께 제작 전 과정을 국산화하는 작업도 진행중이다. 터보차저 최종 조립은 물론 핵심 부품의 가공까지 한 공장에서 가능하도록 라인을 증설하고 있다. 또 공장 내에 터보차저 품질확보실을 별도로 설치하고 3차원 측정기 등 19가지의 품질검사를 거치는 등 품질향상에 주력할 방침이다.
현대위아는 터보차저 독자 양산체제 구축으로 20% 이상의 수입대체 효과를 거두게 됐다. 수입에만 의존하던 터보차저의 핵심 부품을 직접 만들어 생산원가를 크게 절감했다는 게 회사측 설명이다.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터보차저시장에서의 수주도 기대하고 있다.
우남제 현대위아IHI터보 대표이사는 "터보차저 독자 양산체제 구축으로 가격경쟁력을 더욱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세계 부품사가 80% 이상 차지하고 있는 터보차저시장에서 강력한 경쟁자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오아름 기자
or@autotimes.co.kr▶ BMW, 연결성 강화한 2시리즈 부분변경 공개▶ [人터뷰]테슬라도 포기한 EV 2단 변속기, 한국이 개발▶ 문재인 정부 출범, 전기 이륜차 시대 올까?▶ 고급차 전유물, 알칸타라는 어떤 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