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친환경차를 현지 생산, 판매하는 해외 기업에게 3개 이상의 합작사 설립을 허용하는 등 "친환경차 굴기"에 적극 나섰다.
15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최근 경기침체에 따른 신차시장 위축 대응과 친환경차 판매를 늘리기 위한 것으로, 가장 먼저 움직임을 보인 회사는 폭스바겐이다. 이미 상하이자동차그룹, 제일기차와 합작사를 설립한 폭스바겐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장화이기차와 합작사 설립을 검토하다 지난 5월 최종 허가를 얻었다. 이를 통해 e골프를 비롯해 향후 내놓을 I.D. 컨셉트의 양산버전 등을 중국에서 생산, 판매할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업계는 이번 제도 완화로 글로벌 자동차회사와 중소기업의 합작사 설립이 증가해 중국 내 친환경차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움직임과 달리 현재 운영중인 합작사의 반대 가능성이 있는 만큼 해외업체가 추가 합작사 설립에 신중할 필요도 있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중국은 향후 10년간 친환경차시장을 10배로 늘리는 걸 목표로 정했다. 중국자동차제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 판매된 친환경차는 50만,7000대(EV 40만9,000대, PHEV 9만8,000대)에 이른다. 실제 독일 뒤스부르크-에센대학의 자동차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오는 2025년 중국의 연간 자동차시장은 3,510만대로 늘어나며, 이 가운데 EV와 PHEV 판매는 전체의 30% 정도인 1,060만대에 달할 전망이다.
한편, 중국은 난립한 토종 자동차제조사를 오는 2020년까지 10개로 통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10개 사를 중국 내에서 성장시킨 후 해외로 내보내 글로벌 시장을 장악하겠다는 복안이다.
구기성 기자
kksstudio@autotimes.co.kr▶ 자동차산업협회장, "임단협 주기 3~4년으로 늘려야"▶ 국토부, 미쓰비시·벤츠 892대 리콜▶ BMW 520d, 여전히 건재한 이유는 "상품성(?)"▶ "신규 연비인증 깜박"..포르쉐 5개 차종 판매스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