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M 인프라 활용해 자율주행·커넥티드 카 기술적 완성도·신뢰성 제고 현대자동차그룹이 미국의 미래 모빌리티 연구기관인 ACM(American Center for Mobility)에 500만 달러(약 56억 원)를 투자한다고 25일 밝혔다.
현대차에 따르면 ACM은 미국 미시간 주정부를 중심으로 미시간주립대학, 완성차·통신업체가 자율주행·커넥티드카 기술 개발, 성능 개선, 양산성 검토, 표준화 구축 등을 목적으로 설립한 산학협력기관이다. 이번 투자는 현대차가 미국 현지에서 미래 모빌리티 핵심 기술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교류 확대, 동향분석 등을 바탕으로 미래차시장을 주도하는 "마켓 리더"로 나서기 위해 진행했다.
ACM은 디트로이트 인근에 위치한 윌로우런에 자율주행 연구 인프라, 제품 개발 주행시설 등을 갖춘 연구단지를 만들고 있다. 각종 주행상황, 기후환경 등 시험 평가·검증 조건을 설정하고 반복, 재현할 수 있는 테스트 베드 환경을 연면적 약 200만㎡ 규모로 조성한다. 올해 연말 1단계 시설공사를 끝내며, 오는 2019년말 최종 완공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ACM 연구 인프라를 기반으로 자율주행기술 검증, ADAS 로직 평가, V2X 알고리즘 개발 등을 통해 자율주행·커넥티드카분야의 기술적 완성도와 신뢰성을 높일 계획이다. 또 ACM 참여를 확정한 토요타, 포드, AT&T 등과의 기술 교류를 확대하며 글로벌 기술흐름을 파악·분석해 미래 모빌리티기술 우위 확보에 나설 방침이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BMW, 개성·역동성 양립한 SUV "X2" 공개▶ 글로벌 자동차 시장, 전기로 급격히 돌아서▶ 폭스바겐, 누적 생산 1억5,000만대 돌파▶ 현대기아차, 2017 국제 파워트레인 컨퍼런스 개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