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국·이스라엘·중국·독일에 오픈 혁신 센터 세워, 현지 유망 스타트업 발굴
-전략기술본부 운영 총괄, 스타트업 투자 효율성 제고
현대자동차그룹이 대한민국, 미국 실리콘밸리, 이스라엘 텔 아비브, 중국 베이징, 독일 베를린에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를 구축할 것이라고 8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는 현지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 육성하는 동시에 이들과의 협업 및 공동 연구개발 업무를 담당한다. 더불어 대학, 전문 연구기관, 정부, 대기업 등과 교류, 공동 연구를 통해 신규 비즈니스 창출을 모색하는 사업 실증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우선 현대차그룹은 올 상반기 중 한국과 이스라엘의 신규 혁신 거점을 가동한다. 국내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는 현대·기아차의 R&D 거점들과 다양한 실험을 추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어 연내 중국 베이징, 독일 베를린에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를 개관한다. 베이징은 인공지능을 비롯한 중국 특화 기술 확보, 현지 대형 ICT 기업들과 협력을 모색하기 위한 혁신 거점으로, 베를린은 스마트시티, 모빌리티 솔루션 기반의 신사업 기회 확보를 위한 혁신 거점으로 각각 차별화해 육성할 계획이다.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의 운영 총괄은 현대차그룹 전략기술본부가 맡는다.
또한,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오픈 이노베이션 센터 "현대 크래들(Center for Robotic-Augmented Design in Living Experiences)"은 지난해 기존 실리콘밸리 사무소 "현대벤처스"를 확대한 곳으로, 다른 네트워크와 수평적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이들과 차별화된 역할을 수행한다. 이밖에 국내 유망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실리콘밸리 진출을 위한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Accelerator)로서의 업무도 추진한다. 이미 2011년 인공지능, 음성인식 전문 기업인 사운드하운드社에 투자해 신형 벨로스터에 적용할 음악 정보 검색 서비스 "사운드하운드"로 결실을 맺은 바 있다. 이어 내년 출시될 신차에 대화형 "음성인식 비서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상반기 인공지능(AI), 이동성,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로봇, 헬스 캐어 등의 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전략기술본부를 출범한 바 있다. 전략기술본부는 오픈 이노베이션 5대 네트워크 구축을 계기로 스타트업 투자 효율 강화와 그룹 전체의 신사업 플랫폼 구축 역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안효문 기자
yomun@autotimes.co.kr▶ 2017년 글로벌 자동차판매 1위는?▶ "13월의 급여 연말정산", 車 구입비 공제되나▶ 현대차, 신형 벨로스터 렌더링 공개▶ 르노삼성 SM6, 내수 생산 10만대 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