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수단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 막기 위한 정책
영국이 2040년 내연기관차 판매를 전면 금지할 계획이다.
26일 외신에 따르면 영국은 2040년까지 이동 수단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47억 달러를 투자한다. 또한 정부가 글로벌 기업들과 협업해 유해 성분을 덜 배출하는 타이어와 브레이크 기술 개발을 촉진시킬 예정이다. 영국은 이를 통해 EU의 온실가스 감축 계획보다 빠르게 대기 오염을 줄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와 함께 영국은 지방 정부에 대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권한을 위임할 방침이다. 교통부가 직접 나서 배출가스 조작 장치에 리콜을 명령할 수 있는 권한을 지방 정부에 부여하며, 배출가스 조절장치 표준도 법적으로 설정한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영국 정부는 2040년부터 최소 50마일(약 80㎞)을 전기로만 주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카 판매를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영국 뿐 아니다. 유럽의 내연기관 퇴출은 이미 예고돼 있다. 전기차 보급률이 가장 높은 노르웨이와 네덜란드는 2025년 내연기관차 판매를 금지할 방침이며, 독일은 2030년, 프랑스는 2040년을 내연기관 판매 금지 목표 시점으로 설정했다. 이 가운데 독일의 함부르크는 이달 안에 유로5 디젤차까지 운행금지 정책을 시행할 예정이다.
그러나 일부에선 내연기관차로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는 완성차 업계 특성 상 정책 달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기차 비중이 증가하지만 내연기관 역시 줄어들지 않는다는 것.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HS 마킷은 2040년 세계 자동차 시장의 70%가 내연기관차가 점유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한국은 지난해 9월 국회에서 2030년까지 내연기관차 판매를 중지하는 방안이 추진됐지만 결의안에 머물렀다. 이와는 별도로 제주도는 2030년 내연기관차 판매 중지를 목표로 한다.
구기성 기자
kksstudio@autotimes.co.kr▶ 만도와 네이버, 자율주행 부문에서 손잡는다▶ 기아차 스팅어 출시 1년, 평가 엇갈려▶ BMW코리아, 5시리즈 할인 줄이나▶ 더 뉴 스파크, 미국엔 없고 한국에만 있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