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인력 수요 늘어날 것" vs "내연기관 도태돼 인력 줄 것" 생산 시스템이 자리 잡은 자동차 산업에서 향후 일자리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이는 그간 대부분의 미래 전망이 전동화 및 생산 공정의 단순화로 자동차 부문 내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란 예측에 반대되는 것이어서 화제다.
26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올해 회계연도 기준 10만명 이상의 근로자가 있는 13개의 상장된 자동차 제조업체 중 11 곳이 지난 2013년에 비해 고용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회사는 총 310만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으며 이는 4년 전보다 11% 늘어난 수치다.
이 가운데 중국 상하이자동차와 둥펑자동차, BYD는 직원을 최근 24% 늘린 것으로 집계됐으며 가장 많은 직원이 근무 중인 폭스바겐그룹도 같은 기간 동안 고용을 12% 늘렸다. 이에 반해 인원이 줄어든 두 곳은 GM과 닛산에 불과했다. 그러나 GM은 지난해 유럽 사업 부문이었던 오펠 매각에 따른 영향인 만큼 실질 고용은 오히려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미국 시장조사 업체 블룸버그인텔리전스(BI)의 애널리스트 스티브 만은 "중국을 비롯한 다른 신흥국에 진출한 자동차 회사의 성장세가 뚜렷하기에 선행 투자가 비교적 덜 필요하고, 그에 따라 인건비 지출에 거리낌이 없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