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방 추월차, S자 커브길, 높은 중앙분리대 등 악조건에서도 눈부심 제어
현대모비스가 운전자지원기술(ADAS)과 연계해 상시 상향등 상태에서 안전하게 시야를 확보하는 첨단 지능형 헤드 램프(AADB, Advanced Adaptive Driving Beam)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지능형 헤드 램프(ADB)는 항상 상향등 상태를 유지해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는 동시에 상향등의 불빛을 반대 차선의 자동차 부분만 차단, 상대 운전자의 눈부심을 막는 기술이다. 이는 미래 자율주행시대에 야간 안전주행을 위한 필수적인 기술로, 램프가 자동차와 도로에 대한 정밀한 감지를 통해 빛을 세밀하게 조절하며 진화하고 있다.
그러나 ADB는 뒤에서 추월하는 차나 빠르게 커브길을 선회하는 차 등에는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카메라로 전방의 불빛을 감지해 자동차를 인식하는 현재 방식의 기술적 문제다. 이에 따라 현대모비스는 카메라가 수집하는 정보의 종류를 늘리고 레이더, 내비게이션, 조향각 센서 등을 활용해 문제를 해결, AADB 개발에 성공했다. AADB는 카메라가 전방의 불빛만을 감지하던 것에서 차선 정보를 추가로 수집하고, 레이더로 후측방에서 추월하는 자동차 정보를, 내비게이션으로 고속도로와 국도 등의 차로 정보를, 조향각 센서로 커브길의 곡률 정보를 각각 파악한다. 지난해초 개발을 시작한 지 약 1년6개월만에 거둔 성과다.
우선 회사는 ADB 기술의 문제를 추월차 감지, 곡선로 감지, 중앙분리대 구간 제어 등의 세 가지로 구분했다. 각각의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들을 선별하고, 해당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술과 연계하는 방식으로 개발을 진행했다.
ADB는 전방카메라로 선행차의 불빛만 감지하므로 뒤에서 빠르게 추월하는 차에 대한 인식이 늦다. 이에 따라 후측방 사각지대감지장치를 통해 추월차를 감지하고 그 움직임을 예측해 미리 그 부분의 빛을 차단했다. 또 S자 커브길에서 선행차와 운전방향이 달라져 급격한 위치변화가 생기면서 제대로 빛을 차단하지 못하는 단점은 조향각 센서를 통해 차가 얼마나 빨리 회전하고 있는 지를 계산하고 이를 카메라 신호와 조합, 상대차의 위치를 성공적으로 추산해 해결했다. 마지막으로 고속도로나 국도 등에 중앙분리대가 있으면 마주오는 차의 불빛을 인식하지 못하는 단점에 대해 내비게이션과 전방카메라로 차로 및 차선 정보를 수집, 도로 상 위치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자동차가 몇차선에서 주행하든 정교한 조절로 시야를 안전하게 확보하면서도 빛이 중앙분리대를 넘지 않도록 했다.
현대모비스는 추가적인 하드웨어 적용없이 소프트웨어만으로 AADB를 구현, 기술경쟁력과 가격경쟁력을 함께 갖췄다. 또 국내 6건, 해외 12건의 특허를 출원하는 등 글로벌 램프 기술경쟁을 선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램프는 지난 2010년부터 지금까지 총 34억 달러 이상을 수주한 현대모비스의 대표적인 수출품목으로, 이번 개발을 계기로 글로벌 완성차업체를 대상으로 한층 더 공격적인 영업활동을 펼칠 수 있게 됐다.
오아름 기자
or@autotimes.co.kr ▶ 폭스바겐, 중국에 전기차 플랫폼 공장 세운다▶ 두 달 남은 2018년, 전기차 보조금도 남았나▶ 르노삼성, 초소형 전기차 르노 트위지 CJ오쇼핑 판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