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흑자 목표로 3개년 정상화 계획
-경제사회노동위원회, "평택형 일자리 제시한 바 없어" 쌍용자동차 대주주인 인도 마힌드라가 한국 정부 및 산업은행 등에 쌍용차 3개년 정상화 계획을 제시했다. 이에 대통령 소속 자문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최근 알려진 평택형 일자리 제시 가능성에 대해 사실무근이라며 선을 그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파완 고엔카 마힌드라 사장은 지난 16일부터 이틀간 방한해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 문성현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위원장, 이목희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만나고 돌아갔다. 이들과의 자리에서 고엔카 사장은 2,300억원의 직접 자금지원과 함께 2022년 흑자를 목표로 3년 이내에 경영을 정상화 의지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으로는 마힌드라의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 발이 묶인 신차 개발 계획을 다시 추진한다. 동시에 지난 10월 마힌드라와 포드가 세운 합작사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시간 및 비용을 줄이고 궁극적으로는 수출길을 뚫어 판매 범위를 넓힌다는 계획이다.
산업은행은 마힌드라가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쌍용차의 위기는 국내 자동차 산업은 물론 제조업 전체의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정부가 마힌드라의 요청을 무작정 거부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그렇다고 지원에 나서면 한국지엠에 이은 또다른 선례가 돼 너도나도 정부에 기댈 것이란 우려 섞인 전망도 나오는 상황.
이런 가운데 일각에서는 정부의 상생형 일자리, 즉 평택형 일자리가 새로 적용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현재 쌍용차 평택공장의 가동이 멈춘 2라인을 중국 전기차 업체에 빌려주고 연봉을 크게 낮춰 노동자를 고용해 채용을 늘리는 방안이다. 하지만 평택형 일자리가 자리잡게 되면 쌍용차 자체 전기차 개발에 속도가 떨어질 수 있다. 또 중국업체에 쌍용차의 기술 등이 노출될 확률이 높아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이에 대해 경제사회노동위원회는 즉각 해명자료를 내고 쌍용차 경영 정상화와 관련한 일체의 논의에서 평택 상생형 일자리 모델은 제안한 바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마힌드라가 밝힌 쌍용차 자구안에 대해 신중히 검토할 뿐 별다른 우리쪽 입장은 밝히지 않았다는 뜻이다. 그만큼 여러 우려와 논란을 막기 위한 선제 조치로 해석된다.
한편, 쌍용차는 이달 말 화상 이사회를 진행하고 답을 기다릴 전망이다. 자구안을 바탕으로 4월 국회의원 선거와 맞물려 운신의 폭이 좁은 정부를 압박하고 있는 마힌드라의 묘책에 정부가 어떤 결정을 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김성환 기자
swkim@autotimes.co.kr▶ 트레일블레이저, 셀토스 넘어설까?▶ 현대차 코나 일렉트릭, 해발 5,715m 올라...기네스 신기록▶ "중국풍 테슬라" 만든다…설계·R&D 센터 설립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