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너머'..일본차 업계의 탄소중립 실현법

입력 2025년11월07일 09시30분 박홍준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토요타, '멀티 패스웨이' 거듭 강조
 -마쓰다, 해조류 유래 탄소중립 연료 소개해
 -이스즈, 여러 연료 대응할 수 있는 엔진 소개

 

 일본 자동차 업계가 전기차 일변도에서 벗어나 다층적인 탄소중립 전략을 제시하고 나섰다. 

 


 

 지난 달 29일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2025 재팬모빌리티쇼'에서는 토요타, 마쓰다, 이스즈 등 주요 완성차 업체들이 각자만의 방식을 활용한 탄소중립 방식을 제시해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자신들의 '안방'에서 대규모 부스를 구축한 토요타그룹은 '멀티 패스웨이' 전략을 거듭 재확인했다. 이날 사토 코지 토요타자동차 CEO는 탄소 저감을 위해 각국의 전력 사정과 인프라 차이를 고려한 현실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토요타는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수소연료전지, 차세대 내연기관 등 다양한 기술을 병행한다는 방침이다. 토요타는 기존 엔진을 폐기하는 대신 합성연료나 바이오연료, 수소 혼합연료를 사용하는 ‘저탄소 엔진’을 재설계해 내연기관의 생존 가능성을  거듭 강조해오고 있다. 

 



 

 마쓰다는 한층 과학적인 접근으로 시선을 끌었다. 이들은 해조류 기반의 탄소중립 연료와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을 결합한 시스템을 선보였다. 해조류는 성장 과정에서 다량의 CO₂를 흡수하기 때문에 이를 연료화해 사용하면 주행 중 배출되는 탄소를 상쇄할 수 있다. 

 

 마쓰다는 '바다에서 시작되는 탄소중립'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배출가스 중 이산화탄소의 90% 이상을 포집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했다. 여기에 로터리 엔진을 결합한 PHEV 콘셉트 ‘비전 X’도 함께 공개하며 내연기관의 감성과 전동화의 효율을 동시에 잡는 ‘하이브리드 드라이브 감성’을 강조했다. 단순히 전기차 트렌드를 따르는 걸 넘어 연료 생산부터 소비까지의 순환 구조를 재설계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상용차를 내세운 이스즈는 '연료 다변화'를 통해 탈탄소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내놨다. 이번 모빌리티쇼에서 공개된 신형 엔진은 기존 디젤 구조를 바탕으로 LNG(액화천연가스), 바이오연료, 합성연료, 수소 혼합연료 등 다양한 연료에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이스즈는 이를 위해 엔진 내부 부품의 내열성과 내구성을 강화했다. 연료가 달라도 동일한 수준의 출력과 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이스즈는 “탄소중립은 연료와 기술의 융합으로 가능하다”며 전기차 보급이 더딘 상용차 부문에서 당장 실현 가능한 대안을 제시했다.

 

 이번 도쿄 모빌리티쇼에서 확인된 일본 완성차의 방향은 명확하다. 탄소중립이라는 공통된 목표 아래 각 사는 자신들의 기술과 시장 여건에 맞춘 독자적인 경로를 모색하고 있다. 토요타는 ‘모빌리티 포 올(Mobility for All)’이라는 구호로 모든 소비자가 접근 가능한 전동화를, 마쓰다는 해양 생태계와 연계한 연료 혁신을, 이스즈는 상용차에 최적화된 다연료 엔진을 내세웠다.

 

 전기차가 자동차 산업의 대세로 굳어지는 가운데 일본의 선택은 그와는 다른 각도에서 의미를 던진다. 배터리 공급망 제약과 전력 인프라 불균형, 충전 인프라 부족 등 현실적 한계를 직시하며 전기화 이외의 길로도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다는 메시지다.

 

 도쿄(일본)=박홍준 기자 hj.park@autotimes.co.kr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