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는 일부, 결정적 요인 아냐"
폴스타가 르노코리아 부산공장을 북미 수출 전략의 핵심 축으로 계속 활용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마이클 로쉘러 폴스타 CEO는 지난 20일 한국자동차전문기자협회와 가진 인터뷰에서 “미국의 대중국 전기차 관세 이슈 때문에 부산을 활용한다는 시각이 있지만 관세는 여러 판단 요소 중 일부일 뿐 결정적인 요인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부산공장은 지금도, 앞으로도 전략적 중요성이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폴스타는 유럽–북미–아시아 3축 전략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부산은 아시아와 북미를 연결하는 핵심 생산 거점"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부산에서 생산하는 폴스타4는 북미 시장으로 공급되고 있으며 로쉘러 CEO는 “2주 전 캐나다에서 부산 생산 물량이 도착하는 현장을 직접 확인했다”고 전했다.
로쉘러 CEO는 부산의 강점으로 높은 생산 품질, 비용 효율성, 풍부한 제조 경험, 지리적 이점 등을 꼽았다. 관세가 선택의 요인으로 일부 작용할 수는 있지만, “결정적인 이유는 아니다”라며 부산 생산 결정은 2022년 이미 확정된 사안이라고 덧붙였다.
향후 부산공장의 활용 범위 확대 가능성에 대해선 “현재 북미 수출은 시작에 불과하다”며 “아직 정해진 바는 없지만 미래에 또 다른 기회가 열릴 수 있다”고 밝혔다. 부산 공장에 대한 추가 생산 배정 또는 추가 투자 여부가 폴스타4의 북미 흥행 여부에 달렸다는 뜻으로 읽힌다.
한편, 로쉘러 CEO는 이날 인터뷰에서 내년 중 한국 시장에 폴스타3와 5를 투입하겠다고도 밝혔다. 두 제품군은 각각 폴스타의 하이엔드 제품 역할을 맡는 SUV와 GT 제품이다.
박홍준 기자 hj.park@aut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