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쉐량 BYD 아·태 자동차 영업사업부 총경리
-"한국의 전기차에 대한 높은 관심 확인"
-"한국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미래에 기여할 것"
중국 BYD가 한국 진출을 선언한 이후 약 2개월간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에 한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빠르게 넓혀겠다고도 강조했다.
류쉐량 BYD 아시아태평양 자동차 영업사업부 총경리는 3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언론 공개 행사에서 연사로 나서 "한국에 진출한 이후 전국 각지에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는 지금, 한국 소비자들이 전기차와 BYD 브랜드에 보내는 관심을 몸소 체감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BYD는 현재 전국에 15개의 판매 네트워크를 구축했고 오는 연말까지 이를 30곳까지 늘릴 계획이다. 류 총경리는 "소비자들의 많은 관심 덕분에 빠르게 전국적인 판매망을 구축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소비자에게 안정적인 서비스와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류 총경리는 BYD 산하의 4개 브랜드도 한국에 소개했다. BYD를 비롯해 프리미엄 브랜드 양왕(仰望)과 럭셔리 브랜드 덴자, 오프로더 브랜드 포뮬러 바오(方程豹) 등이다. 그는 "BYD는 지난 30년간 축적한 기술을 통해 세계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해왔다"라며 "지속 가능한 지구를 위한 기술 혁신이 가장 중요한 사회적 책임"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BYD는 지난해 세계 시장에서 427만대의 친환경차를 판매하며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 1위를 기록했다. 그 결과 약 3,028만톤의 탄소 배출을 줄이는 성과를 올렸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류 총경리는 “이는 약 5억 그루의 나무를 심는 것과 같은 환경적 효과”라며 BYD가 환경에 기여하고 있따는 점을 지속적으로 강조했다.
BYD는 향후 한국 시장에 더 다양한 차종과 최신 기술을 소개하겠다는 방치이다. 류 총경리는 "BYD 오너들, 그리고 새로운 기술과 제품과 함께 한국의 지속가능한 녹색 미래와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하겠다" 라며 "이번에 공개하는 전기 세단 씰을 통해 BYD의 기술이 사회에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인 변화를 직접 체험해보기 바란다" 라고 말했다.
한편, BYD코리아는 이번 서울모빌리티쇼에서 바오5, 덴자 Z9 GT을 비롯해 D9, 씨라이언 7, 씰, 프리미엄 브랜드 양왕 U8, U9 등 총 8종의 전동화 라인업을 공개했다.
박홍준 기자 hj.park@aut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