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민간 참여하는 교통 얼라이언스 '누마' 출범
-국토부·서울대 등 31개 기관 참여
현대자동차·기아가 1일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민·관 협의체 ‘NUMA(Next Urban Mobility Alliance, 누마)’ 출범식을 가졌다고 1일 밝혔다.
누마는 지역 간 교통 격차, 사회적∙신체적 교통 약자의 이동 등 실질적인 사회 문제의 해결을 기업의 혁신과 정부의 정책, 학계의 전문성이 조화롭게 맞물려 해결해야 한다는 공감대에서 시작됐다. 해당 협의체는 지역교통의 AI 전환 및 기술기반 교통문제 해결, 자율주행 기술 및 미래 모빌리티 디바이스 기반의 자율주행-MaaS 실현, 스마트시티 전환을 위한 AI 모빌리티의 확산 등으로 향후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누마의 가장 큰 특징은 개방형 협의체 모델이라는 점이다. 정부기관으로 국토교통부, 행정안전부, 경기도, 한국교통안전공단 민간기업은 현대차·기아, 현대카드, KT, CJ대한통운, 네이버 클라우드, 티맵모빌리티, 한화손해보험, 연구기관은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국립한국교통대학교, 한국교통연구원 등 총 31개 주체들이 참여하며 향후에도 참여사를 지속적으로 받아들여 경계 없는 협력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현대차·기아는 참여하는 기관 및 기업들과 협력해 협의체를 운영하며 동시에 참여사 간 활발한 네트워킹과 실질적인 과제 발굴이 이뤄지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정부도 국민의 보편적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교통기본법 제정 등 교통 소외지역과 교통 취약계층에 대한 정책 방향을 마련하고 미래 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도 수립할 계획이다.
송창현 현대차·기아 AVP 본부장(사장)은 “자율주행과 AI는 일상을 새롭게 설계하는 거대한 변화의 흐름”이라며 “현대차·기아는 주관사이자 파트너로서 교통약자와 지역사회를 아우르는 기술 기반의 포용적 이동권을 실현하고 세계 도시들과 연결되는 글로벌 모빌리티 전환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강희업 국토교통부 2차관은 “교통은 이제 단순 인프라가 아닌 국민의 일상이자 삶을 연결하는 필수 서비스로서 국민은 누구나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며 “민·관이 힘을 합쳐 교통 격차 없는 대한민국, 모두가 자유롭고 안전하게 이동하는 사회를 위해 나아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누마 출범식에는 교통약자를 배려한 유니버셜 디자인 자동차와 나노모빌리티 등 현대차·기아의 모빌리티 제품과 협의체 참가사들의 AI 기술 기반 교통 관련 솔루션을 전시, 시연하는 등 최신 기술을 직접 체험하는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박홍준 기자 hj.park@aut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