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웨이모 이용자 급증, 트럭 자율주행은 적극 반대
구글의 자율주행 로보택시 웨이모가 심상치 않다. 3개월 만에 이용자가 두 배로 급증했기 때문이다. 신기해서 이용하기도 하지만 타본 사람들이 로보택시의 운행 안전성에 신뢰를 보내며 다시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구글로선 본격적인 로보택시 유상운송사업의 진출이자 그간 쏟아부었던 막대한 투자비 회수의 신호탄이다.
웨이모에 따르면 로보택시의 미국 내 주당 유료 승차 건수는 10만 건을 돌파했다. 5만 건을 넘어선 지 불과 3개월이 지났을 뿐이다. 지난해 8월 프란시스코를 시작으로 LA와 피닉스, 오스틴에서 차례로 유상운송에 들어갔다. 보유 대수는 700대지만 앞으로 점차 운행대수를 늘려갈 계획이다.
그러자 테슬라도 발 빠르게 움직인다. 오는 10월 로보택시 '사이버캡'을 공개하고 유상운송 사업 진출을 예고한다. 그간 일론 머스크가 궁극의 목표로 내세웠던 사업인 만큼 테슬라 로보택시의 등장은 유상운송 사업의 경쟁을 부추겨 이용자는 획기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이외 우버도 로보택시 유상운송을 준비하는 만큼 결국 사람 운전에 의지했던 운송사업의 영역은 차츰 로봇으로 대체될 수밖에 없다.
승용에 이어 상용 부문의 자율주행 유상운송도 시작될 테세다. 최근 캘리포니아주는 고속도로에서 자율주행 트럭의 장거리 배송이 가능한 규정을 만들었다. 자율주행 트럭에 인간 운전자 동승을 의무화하고 자율주행차 제조업체에 충돌, 교통법규 위반 등을 보고하도록 의무화했다. 승용 택시 부문의 유상운송 도입을 상용으로 확대하겠다는 의지다.
그러자 인간들의 반란이 본격화됐다. 미국 최대 트럭 운수노조인 팀스터(Teamsters)는 캘리포니아의 자율주행 정책에 강력 반발했다. 이미 승용 부문에서 택시기사 일자리가 사라지는 것을 목격한 만큼 트럭 운전은 로봇에게 절대 내줄 수 없다는 항전 의지를 불태운다. 주 정부가 이런 반발을 우려해 인간 운전자 동승을 전제로 했지만 인간 운전자 배제로 연결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어서 아예 도입 자체를 막겠다는 심산이다.
그런데 운수노조가 느끼는 위협은 생각보다 심각하다. 자율주행 택시보다 운행이 쉬운 부문이 장거리 고속도로 물류 트럭 운송인 탓이다. 도심보다 장애물이 적고 조향 또한 도심보다 어려움이 덜하다. 그래서 운수노조가 주목하는 것은 선거다. 로봇 운전을 개발하는 사람은 주 정부 입장을 찬성하지만 운수노조는 정치인을 대상으로 유권자 파워를 내세운다. 자율주행을 내세우는 정치인에게는 투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표명하는 식이다. 로봇에게 없는 참정권을 적극 활용하는 형국이다.
사실 인간 운전자의 반란은 자율주행이 도로 시험주행에 들어갈 때부터 이미 예고된 갈등이다. 다만, 유상운송 사업 시점이 불투명했던 만큼 그간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았을 뿐이다. 하지만 이제 본격적으로 갈등이 전개될 태세다. 실제 샌프란시스코 택시 운전자는 웨이모 운행에 강력히 항거하지만 이용자가 로보택시를 배제하지 않자 별다른 힘(?)을 쓰지 못한다. 그러나 트럭은 승용 택시와 성격이 전혀 다르다. 택시는 사라져도 우버 등으로 얼마든지 대체가 되는 반면 트럭은 대체가 불가능하다. 게다가 주 이용자도 개인이 아닌 기업이다. 인간 운전자가 운행을 멈추면 기업의 상품 유통이 중단돼 시장에 엄청난 충격을 가져오고 대체제도 없다.
고민하는 것은 한국이다. 비단 인간과 로봇 운전 갈등이지만 미국에만 한정될 일은 아닌 탓이다. 한국 또한 가까운 시일 내에 불어닥칠 현실이라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그럼에도 한국 내에선 이들의 갈등을 애써 외면하려 한다. 아직 수면 위로 올라오지 않아서 그렇지만 그렇다고 굳이 빨리 드러내기를 원하지도 않는다. 그 어느 나라보다 극심한 갈등이 예고돼 있어서다.
그럼에도 한번 바뀐 물의 흐름을 되돌릴 수는 없다. 유상운송 택시부터 버스, 화물에 이르기까지 도입될 로봇 운전과 인간 운전의 갈등은 지금부터 논의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자율주행 부문에서 한국은 뒤처지는 나라가 될 수밖에 없다.
권용주 편집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