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인철 BYD코리아 승용 부문 대표
-"씰 국내판매가 4,750~5,200만원 선 논의중"
-"아토3 출고 시작..책임있는 자세로 최선"
BYD코리아가 아토3에 이은 두 번째 전기차 씰을 선보이고 본격적인 승용 라인업 확대에 나섰다. 이날부터 예약에 돌입한 신차를 앞세워 시장 공략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 부문 대표는 3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프레스 컨퍼런스에 연사로 나서 "아토3가 전기차 시장의 저변을 넓히는 대중화 제품이었다면 씰은 BYD 브랜드의 기술 혁신과 철학을 고스란히 담은 제품"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씰은 낮은 차체, 유선형의 스타일링, 패스트백 스타일 갖춘 세단형 전기차다. 공기저항계수 0.219Cd를 달성했으며 헤드레스트 일체형 시트, 물방울에서 영감을 받은 크리스탈 기어 레버, 앰비언트 조명 등으로 고급스러움을 더한 게 특징이다.
씰은 양산형 전기차로서는 처음으로 배터리팩과 차체를 일체화하는 셀투바디(Cell-to-Body: CTB) 기술이 적용된 차이기도 하다. 배터리팩의 상단 커버를 차체 바닥과 완전히 일체화했고 이를 통해 충돌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배터리팩은 82.56㎾h 블레이드 배터리(LFP)를 탑재해 1회 충전시 최장 520㎞(WLTP 기준) 주행이 가능하다. 20-80%까지 충전하는 데에는 약 30분이 소요된다.
이와 함께, 주행 환경에 따라 각 바퀴에 전달되는 토크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아이텍(iTAC)’ 시스템도 적용되어 고속 주행이나 급격한 코너링 상황에서도 안정적인 드라이빙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BYD코리아는 씰 AWD를 우선 출시하고 향후 싱글모터를 탑재한 후륜구동 버전도 뒤이어 출시할 계획이다. 현재 정부의 인증 절차를 밟고 있는 상태로 추후 출시 및 소비자 인도 시점을 확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조 대표는 씰의 국내 출시 가격과 관련해 "4,750~5,200만원 수준에서 논의 중"이라며 "인증 절차가 끝나는 즉시 차 인도가 가능하도록 준비를 마쳤으며 최대한 합리적인 가격으로 다가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조 대표는 최근 아토3의 출고 지연 사태에 대해 사과 입장을 전하면서도 보다 철저한 인증 절차와 정부 당국과의 적극적인 협력 의지도 강조했다. "어제(2일) 아토3의 보조금이 최종 확정됐으며 이제 인도를 시작한다"며 "국내 자동차 산업의 진정한 일원으로서, 한국 친환경차 시장과 함께 성장해 나가고 행정기관과의 협조를 지속하며 소통도 강화하겠다"라고 말했다.
박홍준 기자 hj.park@autotime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