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 사망자 줄었지만, 보행자 사고는 늘었다

입력 2025년05월28일 11시31분 김성환
트위터로 보내기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공유

 -한국도로교통공단, 2024년 교통사고 통계 발표
 -보행 사망자, 65세 이상이 51.5% 차지

 

 지난해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1970년 통계 작성 시작 이래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보행자와 자전거 사고는 증가했다. 

 


 

 28일 한국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2024년 교통사고 사망자는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한 2,521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 수는 2013년부터 12년 연속 감소해사망자 감소 흐름이 계속 이어졌다. 

 

 그러나 세부 항목을 살펴보면 보행 중 사망자는 전년보다 3.8% 증가한 920명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65세 이상 고령자가 절반을 넘었다.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중 보행 중 사망자의 비율은 36.5%로 자동차 승차 중(34.6%), 이륜차 승차 중(20.9%)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연령대별로는 65세 이상이 전년 대비 59명 증가한 1,299명으로 전체 사망자의 약 절반(51.5%)에 달했다. 12세 이하 어린이 사망자는 12명으로 2명 감소했다. 교통사고 건수는 시간대별로는 오후 6시 전후 퇴근시간대에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요일별로는 주중 특히 금요일에 집중됐다. 월별로는 10월에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했다.

 

 두 바퀴 교통수단인 이륜차, 자전거, 개인형 이동장치(PM)의 차종별 사고 추이를 보면 이륜차와 개인형 이동장치의 사고는 감소한 반면 자전거 사고는 증가했다. 개인형 이동장치(PM) 사고는 해당 통계 수집이 시작된 2017년 이후 처음으로 감소세로 전환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음주운전 사고는 전년 대비 15.4% 감소하며 2년 연속 줄어들었고, 렌터카 사고도 4.1% 감소해 지속적 감소 추세를 이어갔다.

 

 현철승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AI빅데이터융합센터장은 “자동차 1만 대당 사망자 0.9명으로 OECD 회원국 평균(1.0명)에 근접하며 교통안전 선진국 진입 가능성이 높아졌다”면서 “남은 과제로는 고령 보행자와 자전거 등의 교통안전 확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성환 기자 swkim@autotimes.co.kr

무통장입금 정보입력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